우리가 잘못알고 있던 임진왜란 당시 '행주대첩'의 진실
반응형
임진왜란 당시 조선측 3대 대첩 중 하나인 '행주대첩'의 진실에 대해 소개해드릴까합니다. 우리가 잘못알고 있던 임진왜란 당시 '행주대첩'의 진실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행주대첩'은 돌로 둘러쌓인 산성에서 일본군을 막은 전투라고 대체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징비록을 비롯한 조선왕조실록에서는 '행주산성' 전투를 다르게 기록하고 있는데요.
당시 조선군이 행주산성에서 싸우긴 했지만 징비록과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행주대첩은 회전(전면전)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임진왜란을 다룬 징비록에서도 산성에서 전투를 하는 것이 아닌 산지에서 전투를 하는 장면이 공개되었는데요.
즉, '행주대첩' 당시 조선군은 행주산성을 보호한 것이 아닌 일본군 3만 명을 상대로 전면전을 펼친 것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때문에 '행주대첩'이 조선측 3대 대첩에 속할 수 있었다는 것인데요.
특히 '행주산성' 전투 당시 조선측 신무기라고 하는 화차, 비격진천뢰 등의 신무기들을 이용하여 적을 효과적으로 물리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글쓴이 추천 글 링크>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비밀병기 '거북선'의 정보가 부족한 이유
중국 건국의 아버지 '마오쩌둥'이 독재자로 평가받은 결정적인 사건
한반도에 미군은 주둔하는데 중국군은 주둔하지 않는 이유
미 해군 항공모함 전단 3개가 북한 전역을 초토화시켜버릴 수 있는 이유
이 글이 재미있거나 유익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아래에 있는 <공감> 버튼 한 번 눌러주세요
반응형
'밀리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해는 어떻게 강성한 '해동성국'이 되었을까? (0) | 2017.10.20 |
---|---|
임진왜란 3대 대첩 중 하나인 '한산도 대첩'이 끼친 영향 (0) | 2017.10.13 |
중국 건국의 아버지 '마오쩌둥'이 독재자로 평가받은 결정적인 사건 (0) | 2017.10.11 |
광주 민주화 운동을 주제로 만든 영화 '택시운전사'를 봐야하는 이유 (0) | 2017.07.31 |
중국인들도 모르는 시진핑 중국 주석에 대한 비밀 5가지 (0) | 2017.07.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