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당시 '세자 광해군'은 왜 재평가 받아야 할까?
광해군은 인조반정에 의해 폐위당했지만 그가 '임진왜란' 당시 했던 공적은 인정해주어야 합니다. 임진왜란 당시 '세자 광해군'은 왜 재평가받아야 하는가에 대한 설명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광해군은 임진왜란 발발 이후 선조가 한양을 버리고 몽진을 하자 몽진대열에 합류하여 피난 길에 오르게 됩니다. 하지만 평양성에서 선조는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고 분조를 설립하라는 명령을 받게 되는데여.
선조의 명령을 받은 '세자 광해군'은 이천에 분조를 설립하고 그 곳을 전시 야전군 총사령부로 지정하게 됩니다.
또한 세자로 책봉 된 광해군이 한양 근처인 이천으로 오자 백성들은 '세자 광해군'을 환영해주었다고 하는데요. 당시 백성들은 광해군이 세자로 책봉되었고 분조가 설립되었으니 금방 전쟁이 끝날 것이라고 생각했었다고 합니다.
또한 광해군은 당시 조선야전군총사령관을 지낸 서애 류성룡과 이항복 등을 분조에 두고 그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결론을 내기도 했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광해군의 의견을 종합한 최종 결정은 조선군의 보급체계와 명령체계가 확실시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광해군은 전국을 돌아다니며 백성들에게 의병 봉기를 하라고 독려하였고 광해군의 분조가 안정화를 찾아가자 전국에서 의병들이 봉기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또한 일본 태합기에 의하면 임진왜란 당시 의병조직들의 게릴라는 일본군에게 엄청난 타격을 주기도했다고 기록되어 있다고 하는데요.
광해군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측 군통수권자로 없어질 위기에 처한 조선을 구한 지도자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광해군은 선조의 몽진으로 인해 땅바닥을 치고 있던 민심을 다시 끌어올리는 성과를 달성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이후 집권한 광해군은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할 행동은 했지만 그가 임진왜란 당시 했던 업적은 재평가 받아야 한다는 것인데요. 폐위 된 왕으로 기록되어 있는 광해군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군 군통수권자 '세자 광해군'으로써 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드네요.
<글쓴이 추천 글 링크>
현대 한국인들이 '조선'이라는 역사 자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는 이유
한산도 대첩을 세계 4대해전 중 하나라고 주장하는 이유
이 글이 재미있거나 유익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아래에 있는 <공감> 버튼 한 번 눌러주세요
'밀리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이 영국 때문에 2차세계대전에 참전했다? (0) | 2017.10.28 |
---|---|
거북선과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과의 얽힌 이야기 (0) | 2017.10.24 |
현대 한국인들이 '조선'이라는 역사 자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는 이유 (0) | 2017.10.22 |
발해는 어떻게 강성한 '해동성국'이 되었을까? (0) | 2017.10.20 |
임진왜란 3대 대첩 중 하나인 '한산도 대첩'이 끼친 영향 (0) | 2017.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