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북한16 북한 김정일이 유일하게 직접 미안하다고 사과했던 한국 여가수 최근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에는 '북한 김정일로부터 직접 미안하다고 사과를 받은 한국의 여가수'라는 제목으로 글이 하나 올라왔다고 합니다. 북한 김정일이 유일하게 직접 미안하다고 사과했던 한국 여가수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KBS2 '해피투게더'에 출연했던 가수 김연자는 북한에 초청을 받아 북한으로 간 후 있었던 일화를 공개했었다고 합니다. 가수 김연자는 북한 어르신들을 위한 '효콘서트'를 위해 북한에서 직접 초청을 받았다고 하는데요. 사실 북한에서는 가수 김연자가 부른 '눈물 젖은 두만강', '목포의 눈물' 등은 금지곡이었고 가수 김연자가 북한에서 공연을 한후 가수 김연자가 부른 모든 노래의 금지는 모두 해제되었다고 합니다. 때문에 북한 주민들이 가수 김연자가 부른 노래를 마음 놓고 부를 수 있게 .. 실시간 이슈 2018. 10. 10. 더보기 ›› 미 언론, 북한이 몰래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만들고 있다! 북한이 최근 평양 인근 산음동 미사일 연구 시설에서 새로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만들고 있는 것이 포착되었다고 합니다. 미국 언론 중 하나인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한 북한이 몰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만들고 있다고 보도한 내용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30일, 워싱턴 포스트는 미 정보당국이 북한 산음동 연구 시설에서 액체연료를 사용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1기에서 2기가 제조되고 있는 것을 파악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한 워싱턴포스트는 미 정보당국이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산음동 연구 시설에서 화성-15형 최소 1기가 비밀리에 작업 중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평양 산음동 미사일 연구시설은 이전 미 동부 해안을 타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화성-15형 .. 밀리터리 2018. 8. 2. 더보기 ›› 북한 2대 독재자 김정일이 주한미군 철수를 반대했었던 이유 북한은 한국전쟁 휴전 이후 한반도 남부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 철수를 외치며 호시탐탐 적화통일을 노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김정일이 이외로 주한미군 철수를 반대한 적이 있었다고 하는데요. 북한 김정일이 주한미군 철수를 반대했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02년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이었던 故김대중 대통령은 직접 평양으로 건너가 김정일을 만난적이 있었습니다. 또한 故김대중 대통령의 평양 방문으로 남한과 북한 간의 직통전화가 연결되는 등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는데요. 심지어 2002년 故김대중 대통령의 북한 방문 이후 남, 북 공동 대표단이 꾸리지는 등 화해 분위기가 이어졌습니다. 또한 남, 북간의 이산가족상봉 추진이 잦아지면서 수 많은 이산가족들은 통일에 대한 기대를 다시 한 번 꾸게 되면서 통.. 밀리터리 2018. 2. 23. 더보기 ›› 만약 '북한 김정은'이 갑자기 사망한다면 북한의 지도자는 누가 될 것인가? 대한민국에 망명하여 대한민국 국민으로 살아가는 탈북민의 수는 3만 명이 넘었다고 합니다. 또한 중국에 거주하는 북한 주민들은 대략 20만 명으로 보고 있다고 하는데요. 북한 망명정부가 설립된다면 그들의 지도자는 누가 될 것인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북한 노동당 비서를 지낸 故황장엽 노동당 비서가 살아계실 때 탈북민들은 북한 망명정부를 설립하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故김대중 전 대통령의 만류로 인해 대한민국에서 생을 마감하셨는데요. 실제 북한 망명정부가 설립된다면 그들의 지도자로 김일성의 아들 '김평일' 역시 지도자로 거론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김평일'은 김일성의 아들로 북한 망명정부 세력이 합류하지 않을 것이라는 추측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김평일'이 북한 망명정부 세력에 합류하지 .. 밀리터리 2018. 2. 6. 더보기 ›› 북한이 배급제를 실시할 수 있지만 하지 않는 이유 북한은 한국전쟁 이후 이북 지역에 불법적으로 점령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북한은 공산주의권 세력이 점거하고 있기 때문에 배급제를 실시했는데요. 하지만 1995년부터 북한 당국은 배급제를 중단시키고 '고난의 행군'을 선포했습니다. 최근 김정은 시대에 들어 북한은 주민들에게 배급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생겼다고 하는데요. 북한 당국이 주민들에게 배급제를 실시할 수 있지만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북한은 '고난의 행군' 이후 굶어죽는 주민들이 급증가하자 국제연합은 북한에 쌀을 지원하는 대북지원을 실시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외부로부터 지원받은 식량을 주민들에게 배급하지 않고 자신들이 되팔아 무기 개발에 투자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2013년 북한의 식량 생산량 추정지는 약 480만 톤이라.. 밀리터리 2018. 1. 26.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