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일본에 원폭을 투하한 진짜 이유

똥베이런 2017. 11. 11.
반응형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은 미국으로부터 본토에 원자폭탄 2기를 뚜들겨 맞고 항복을 선언했습니다.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일본에 원폭을 투하한 진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은 나치 독일의 항복으로 인해 유럽 전선의 전쟁 상황이 종결되었지만 항복을 하지 않고 연합국과 지속적으로 전쟁을 벌였습니다. 또한 연합국과 미국은 '포츠담 선언문' 이행을 일본에 요구했지만 일본은 이를 무시하며 전쟁을 지속했는데요.



이로 인해 미국은 원자폭탄 1기를 일본에 투하하는 것을 결정했고 당시 미국 트루먼 대통령의 승인 하에 원자폭탄을 투하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 원자폭탄 1기를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항복하지 않자 미국은 1기를 추가로 떨어트렸고 결국 일왕 '히로히토'의 무조건 항복 선언으로 인해 일본은 미국에게 항복을 하게 되는데요.



미국이 원폭을 투하했을 당시 소련의 붉은군대는 유럽전선의 상황이 종결 됨에 따라 전쟁 중인 지역인 극동(만주)지역으로 병력을 재편성하여 배치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또한 소련군은 당시 일본 극동군을 박살내기 위해 '만주작전' 실행 계획을 설립했고 결국 '만주작전'을 통해 일본의 항복을 받아 내고 한반도에 진주하게 되었는데요. 당시 미국은 소련이 만주일대에 병력을 재편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최대한 빨리 일본에게 항복을 받아야만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소련은 미국이 생각했던 것처럼 '만주작전'을 통해 일본군을 박살냈고 한반도에 진주하여 소련군정을 설립하게 됩니다. 또한 소련은 한반도를 적화시켜 일본을 제외한 동북아 자체를 완벽하게 공산화시킬 계획이었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소련의 목적 때문에 미국은 인류 역사 상 최악이자 최강의 무기인 '원자폭탄' 투하를 결정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즉, 미국이 일본에 원자폭탄을 투하한 것은 소련의 동북아 공산화 의도를 알았기 때문에 최대한 전쟁을 빨리 끝내야만 했었던 것인데요. 만약 미국이 일본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지 않고 한반도 남부에 진주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아마 자유롭지 못한 삶을 살고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글쓴이 추천 글 링크>

마오쩌둥이 한국전쟁 당시 김일성에게 진심으로 화낸 이유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 총사령관 '펑더화이'가 김일성의 뺨을 후려친 이유

겨울이 인류 역사에 끼친 막대한 영향

고구려가 한민족의 역사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결정적 증거

고구려는 왜 정복전쟁을 통해 영토확장을 할 수 밖에 없었을까?


이 글이 재미있거나 유익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아래에 있는 <공감> 버튼 한 번 눌러주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