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밀리터리154

북한 주민들이 '기생충'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하지 않은 이유 최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를 통해 귀순한 북한군 병사의 총상으로 인해 귀순하자마자 아주대학교 병원으로 이송되어 수술을 진행했습니다. 수술 이후 총상에 의한 북한군 병사의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지만 '기생충'의 위협으로 인해 경과를 조금 더 지켜봐야한다고 하는데요. 북한 주민들이 '기생충'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북한은 한국과 같이 쌀을 주식으로 하는 지역으로 북한 당국은 북한 주민들에게 일정량의 배변을 할당하여 당국에 바치도록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북한 주민들이 바친 배변은 쌀 농사를 비롯한 각 종 농사의 비료로 사용하게 된다고 하는데요. 실제 배변을 비료 사용하게 될 경우 배변에 있는 기생충 알이 음식물에 뭍어 음식을 섭취하게 될 경우 몸 안으로 들어간다고.. 밀리터리 2017. 11. 20.
한국에 다시 외환위기가 온다면 한국인들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 2016년 기준 한국의 경제전문가들은 1997년 IMF 외환위기보다 더 심각한 경제난이 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에 다시 외환위기가 온다면 한국인들은 어떠한 반응을 보일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한미FTA를 비롯하여 중국의 사드보복까지 한국 경제는 침체적인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전문가들은 한국에 다시 외환위기가 온다면 국민들은 외면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하는데요. 실제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 전국민적으로 금 모으기 운동을 통해 국가 경제위기를 극복했습니다. 또한 이 사례는 금융위기에 닥친 국가들이 본받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1997년 IMF 외환위기는 한국 기업들의 심각한 부채로 인해.. 밀리터리 2017. 11. 20.
전 세계에서 분단국으로 인식되고 있는 국가 3개 냉전 이후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 된 지역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것은 '한반도'라고 대부분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한반도 뿐만 아니라 분단국으로 인식되어 있는 국가들이 존재한다고 하는데요. 전 세계에서 분단국으로 인식되고 있는 국가 3개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남한-북한 남한과 북한이 본격적으로 분단 된 것은 일제 해방 이후로 남한 정부는 1948년 8월 15일에 북측 정부는 9월 9일에 탄생했다고 합니다. 또한 1950년에 발발한 한국전쟁은 1953년에 휴전협정이 체결되면서 휴전되었고 이로 인해 한반도는 완전한 분단이 되었는데요. 실제 한국전쟁 휴전 이후 남, 북한의 왕래 조차가 자유롭지 못하고 현재까지도 수 많은 이산가족들이 수 십년 간 상봉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밀리터리 2017. 11. 20.
임지현의 재월북으로 인해 탈북자 사회에 끼친 영향 종편방송 중 하나인 TV조선에 출연하던 탈북자 임지현(본명 : 전혜성)은 북한 주민으로 탈출하여 탈북자 방송인으로 알려져 있던 인물입니다. 하지만 아시다시피 임지현(본명 : 전혜성)은 재월북을 하면서 대한민국을 놀라게 했는데요. 임지현의 재월북으로 인해 탈북자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2017년 7월 16일 북한은 북한 매체인 '우리민족끼리' 유튜브 채널을 통해 임지현(본명 : 전혜성)의 재월북 사실을 알렸습니다. 또한 전혜성은 '우리민족끼리'에 출연하여 대한민국을 남조선이라 칭하며 남조선은 사람이 살기 힘든 곳이라며 엄청난 비판을 했는데요. 이로 인해 대한민국은 충격에 휩싸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임지현(본명 : 전혜성)의 재월북 사건은 조용히 잊혀져갔지만 문제는 다른 곳에서 발생했.. 밀리터리 2017. 11. 19.
최근들어 한국으로 망명하는 탈북민이 감소하고 있는 이유 대한민국 국정원의 공식적인 발표에 의하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민의 수는 3만 명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하지만 최근들어 한국으로 망명하는 탈북민의 수는 점 점 줄어들고 있다고 하는데요. 최근들어 한국으로 망명하는 탈북민이 감소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체적으로 탈북이라는 단어가 생긴 것은 1995년부터 북한에서 시작 된 '고난의 행군'으로 인해 국경을 넘는 북한 주민들이 대거 발생하면서 생겨난 단어라고 합니다. 실제 1995년부터 북한 주민들이 국경을 넘어 북한을 탈출하면서 북한을 탈출한 북한 주민 대부분은 대한민국으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을 탈출하여 대한민국에 입국한 탈북민들은 대한민국 국정원의 간단한 조사 이후 '하나.. 밀리터리 2017. 11.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