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임진왜란18

일본 '와키자카' 가문의 후손들이 '한산도 대첩'을 기억하는 방법 한산도 대첩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측 3대 전투로 조선 수군이 남해안을 완전히 장악하는 계기를 만들어 준 전투입니다. 또한 한산도 대첩은 임진왜란 당시 최초의 조선 연합함대가 결성 된 전투로 조선측에는 매우 뜻깊은 승리라고 할 수 있는데요. 한산도 대첩의 패장 '와키자카 야스하루' 후손들이 한산도 대첩을 기억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한산도 대첩 당시 일본 수군을 이끌었던 장군은 '와키자카 야스하루'라는 쇼군입니다. 또한 '와키자카 야스하루'는 일본 전국시대의 무장으로 히데요시의 최측근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와키자카 야스하루'는 히데요시의 명령 하에 일본 수군을 이끌고 출정을 하게 되는데요. 하지만 '와키자카 야스하루'는 근자감(근거없는 자신감)을 가지고 이순신 장군의 함대를 상대하기 위해 .. 밀리터리 2017. 12. 10.
임진왜란 당시 조선군이 일본군에게 사형을 선고한 전투 임진왜란은 1592년 임진년에 왜인들이 쳐들어 온 난리라고 해서 임진왜란이라고 불리는 비극의 역사입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군이 일본군에게 사형을 선고한 전투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조선군이 일본군에게 사형을 선고한 전투는 바로 조선 수군이 한산도 인근에서 조선 수군이 왜군을 박살 낸 '한산도 해전'입니다. 또한 한산도 해전은 조선 수군이 남해안 일대를 장악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만든 전투이기도 한데요. 실제 '한산도 해전' 당시의 기록을 보면 일본측 함선 73척 중 47척이 침몰하고 12척이 나포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산도 해전' 당시 '조선 수군'의 '함선'은 단 한척도 침몰하거나 나포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한산도 해전' 이후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 마저 패전 소식을 듣자 '조선.. 밀리터리 2017. 12. 9.
명량해전에서 조선 수군이 승리할 수 있었던 이유 5가지 명량대첩이란 세계 해전사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위대하고 빛나는 승전으로 정유재란의 흐름을 완전히 뒤집어 버린 해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명령해전에서 조선 수군이 승리할 수 있었던 이유 5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조선 수군의 군율과 신뢰의 리더쉽 이순신 장군은 명량해전 출전에 앞서 조선 수군들에게 조금이라고 군령을 어기면 즉각 군법으로 다스렸습니다. 당시 조선수군은 칠천량 해전으로 엄청난 손실을 보았기 때문에 조선수군 역시 필사적으로 싸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을 것인데요. 명량해전은 누가봐도 조선수군의 패배가 분명했고 심지어 이순신 장군 조차도 기적(천행)이라고 인정했을 정도라고 합니다. 이순신 장군이 다시 수군 총사령관으로 복귀한 것은 조선수군의 떨어진 사기를 다시 올리게 만든 이.. 밀리터리 2017. 12. 9.
임진왜란 당시 17만에 육박하던 조선군이 3만 명으로 축소 된 이유 임진왜란 발발 이후 조선은 광해군의 의병 정책으로 인해 조선 정규군이 17만 5천 명에 달하는 위엄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조선은 정규군 17만 5천 명에서 3만 명으로 급속도로 감소 된 이유가 있다고 하는데요. 임진왜란 당시 17만에 육박하던 조선군이 3만 명으로 축소 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이치 전투를 비롯한 진주성 방어전에서 승리한 광해군의 분조는 호남을 중심으로 한 정규군 편성과 조선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조직을 정규군에 편성했습니다. 이로 인해 조선은 반격의 기틀을 마련하고 있었고 명나라까지 대규모 병력을 파병하면서 전세를 역전시키고 있었는데요. 하지만 수세에 몰린 일본의 '고니시 유키나가'는 명나라측에 강화협정을 제안했고 명나라측은 일본의 강화협정에 수응하여 휴전기에 접.. 밀리터리 2017. 11. 23.
임진왜란 당시 '세자 광해군'은 왜 재평가 받아야 할까? 광해군은 인조반정에 의해 폐위당했지만 그가 '임진왜란' 당시 했던 공적은 인정해주어야 합니다. 임진왜란 당시 '세자 광해군'은 왜 재평가받아야 하는가에 대한 설명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광해군은 임진왜란 발발 이후 선조가 한양을 버리고 몽진을 하자 몽진대열에 합류하여 피난 길에 오르게 됩니다. 하지만 평양성에서 선조는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고 분조를 설립하라는 명령을 받게 되는데여. 선조의 명령을 받은 '세자 광해군'은 이천에 분조를 설립하고 그 곳을 전시 야전군 총사령부로 지정하게 됩니다. 또한 세자로 책봉 된 광해군이 한양 근처인 이천으로 오자 백성들은 '세자 광해군'을 환영해주었다고 하는데요. 당시 백성들은 광해군이 세자로 책봉되었고 분조가 설립되었으니 금방 전쟁이 끝날 것이라고 생각했었다고 .. 밀리터리 2017. 10.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