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밀리터리154

한국전쟁 당시 한국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쳐 처절하게 싸운 미군 5명 1950년 6월 25일 한반도 전역에는 남쪽으로 피난가는 피난민들의 행렬이 끊이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미국은 한국을 지키기 위해 병력을 파병했고 미군은 유엔 안보리 결의안의 통과로 미 본토의 병력을 한국으로 보내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한국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쳐 처절하게 싸운 미군 5명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찰스 H. 바커 찰스 H. 파커는 1953년 6월 4일 전사한 인물로 전쟁 발발 이후 소대원들과 함께 정찰 중이었던 그는 북한군의 참호를 발견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북한군과 마주친 바커의 소대원들은 탄약이 다 떨어질 때까지 분전했고 상황이 좋지 않자 소대원들을 모두 후퇴시켰다고 합니다. 그리고 찰스 H. 바커는 홀로 북한군과 끝까지 싸웠으며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고 합니다. 에드.. 밀리터리 2018. 6. 18.
최근 동남아 국가들이 떠오르고 있는 이유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최근 많은 국가들로부터 투자를 받기 시작하면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동남아 국가들이 떠오르고 있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수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동남아시아로 공장을 옮기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이는 동남아시아들은 국민 소득이 높지 않고 인건비가 저렴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특히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잘 사는 태국의 경우에도 1인당 국민소득이 800불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때문에 수 많은 글로벌 기업들은 동남아 등지에 법인을 설립해 공장을 유치시키고 있으며 동남아 자체가 휴양지로 유명하기 때문에 1년 365일 사람이 붐빈다고 합니다. 또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동남아국가연합이라는 ASEAN이라는 것을 기구를 설립하고 협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는.. 밀리터리 2018. 5. 14.
해외에서 '이순신 장군'을 높게 평가할 수 밖에 없는 이유 이순신 장군은 한민족을 구한 영웅으로 21세기에도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 중 한명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그런데 해외에서도 한민족을 구한 이순신 장군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해외에서 '이순신 장군'을 높게 평가할 수 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순신 장군은 임진왜란 시기 '한산도 대첩'을 시작으로 '명량 해전'과 같은 불멸의 신화를 써내려갔습니다. 또한 당시 왜군의 명장으로 불리던 '고니시 유키나와', '와키자카 야스하루' 등에게 적장이지만 존경받는 인물이기도 했는데요. 특히 '한산도 대첩'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직접 조선 수군과 웬만하면 전투를 벌이지 말고 피하라는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순신 장군은 현대에 이르러 불멸의 신화를 써내려갔다는 것에 대.. 밀리터리 2018. 4. 30.
일본이 중국에게 경제적으로 꼼짝도 못하는 이유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었던 일본은 중국의 고도성장으로 인해 세계 2위의 경제대국 자리를 중국에게 넘겨주어야만 했습니다. 또한 중국과 일본은 역사적으로 전쟁을 치룬 경험이 있어 반일감정이 심한 국가이기도 한데요. 일본이 중국에게 경제적으로 꼼짝도 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시다시피 2010년 9월 일본이 센카쿠 열도 인근 섬에서 조업을 하던 중국인 어부를 체포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사실이 중국 정부에 전달되자 중국 정부는 일본 정부에 맹렬히 항의했는데요. 이 사건이 터지자 일본 정부는 중국 어부를 조사하겠다고 발표했고 일본은 조사에 착수하겠다고까지 공식적으로 발표한 상황이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일본 정부는 중국인 어부를 조사하지 않았고 중국 정부의 강력한 압박과 협박으로 인해 중.. 밀리터리 2018. 3. 12.
북한 2대 독재자 김정일이 주한미군 철수를 반대했었던 이유 북한은 한국전쟁 휴전 이후 한반도 남부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 철수를 외치며 호시탐탐 적화통일을 노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김정일이 이외로 주한미군 철수를 반대한 적이 있었다고 하는데요. 북한 김정일이 주한미군 철수를 반대했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02년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이었던 故김대중 대통령은 직접 평양으로 건너가 김정일을 만난적이 있었습니다. 또한 故김대중 대통령의 평양 방문으로 남한과 북한 간의 직통전화가 연결되는 등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는데요. 심지어 2002년 故김대중 대통령의 북한 방문 이후 남, 북 공동 대표단이 꾸리지는 등 화해 분위기가 이어졌습니다. 또한 남, 북간의 이산가족상봉 추진이 잦아지면서 수 많은 이산가족들은 통일에 대한 기대를 다시 한 번 꾸게 되면서 통.. 밀리터리 2018. 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