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밀리터리154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 총사령관 '펑더화이'가 김일성의 뺨을 때린 이유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 이후 국제연합군의 인천상륙작전으로 국군과 연합군은 반격을 시작하여 평양을 점령하고 북진을 감행했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김일성의 지원요청에 응하여 지원군을 파견했는데요.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 총사령관 '펑더화이'가 김일성의 뺨을 후려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한반도에 파병된 '중국인민지원군'의 총사령관은 중국 공산당 최고의 명장이라고 불리는 '펑더화이'였습니다. '펑더화이'는 포위전술을 사용하며 국군과 연합군을 후퇴시켰고 평양을 재탈환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연합군과 국군은 중공군의 공세에 반격하기 위해 재정비를 하고 있었고 결국 중공군과 북한은 국군과 연합군의 반격에 의해 후퇴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국군과 연합군의 반격 속에서 김.. 밀리터리 2018. 2. 21.
고구려가 정복전쟁을 통한 영토확장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고구려는 한민족 역사 상 가장 거대하고 광활한 영토를 보유했던 국가입니다. 그런데 고구려가 정복전쟁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가 있었다고 하는데요. 고구려는 왜 정복전쟁을 통해 영토확장을 할 수 밖에 없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구려는 동명성왕 고주몽이 세운 국가로 첫 수도는 현 중국 요녕성에 있는 졸본산성이었다고 합니다. 또한 고구려는 건국 이후 주변국들을 굴복시키며 세력을 확장해나갔는데요. 하지만 고구려는 중국 만주 일대와 한반도 북부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식량 조달 문제에 있어서 큰 곤욕을 치루었다고 합니다. 고구려가 식량 문제에 큰 곤욕을 치룬 이유는 한반도 이북지역과 만주 일대는 쌀 농사를 짓기에는 너무나 척박한 땅이었기 때문었는데요. 이로 인해 고구려는 정복전쟁을 통해 소금 등의 생산.. 밀리터리 2018. 2. 18.
인류 최초 핵 개발 프로젝트인 '맨해튼 프로젝트'가 진행 된 이유 맨해튼 프로젝트는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 정부가 주도하고 영국, 캐나다가 함께한 비밀 프로젝트명입니다. 또한 이 프로젝트로 인해 미국은 인류 최초의 핵 무기를 만들어냈는데요. 세계 최초 핵 무기 개발 프로젝트 '맨해튼 프로젝트'가 진행 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맨해튼 프로젝트'는 1939년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쓴 편지에 의해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맨해튼 프로젝트' 시작 당시에는 규모가 작았지만 지속적인 연구로 인해 연구원이 13만 명 규모까지 성장했다고 합니다. 또한 당시 '맨해튼 프로젝트'에 쏟아부은 비용은 당시 돈으로 20억 달러로 2017년 한국돈으로 환산하면 약 29조 3,480억 원 정도라고 하는데요. '맨해튼 프로젝트'가 미국 정부의 본격적인 지원을 받은 계기는 2차세.. 밀리터리 2018. 2. 18.
삼국시대 당시 영토가 가장 작은 백제가 부강할 수 있었던 이유 백제는 고대 한반도에 존재했던 국가로 호남일대에 걸쳐 있었던 국가입니다. 비교적 영토가 작았던 백제가 부강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백제는 고대 한반도 국가 중 가장 전성기를 빨리 맞이한 국가로 막강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었던 국가입니다. 또한 백제는 한반도는 가장 작은 영토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신라의 여러 개성을 함락시키며 신라를 공격하거나 고구려를 공격했는데요. 백제가 작은 영토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고구려를 공격하여 밀리지 않았던 이유는 바로 백제가 지배하고 있던 지역적 특성 때문이라고 합니다. 백제가 실질적으로 지배했던 지역은 전라도(호남)일대로 전라도는 현재까지도 쌀이 가장 많이 나오는 지역으로 유명한데요. 전라도(호남) 일대는 땅이 기름지고 쌀 농사를 짓기에 최적의 땅이라고 합니.. 밀리터리 2018. 2. 18.
조선이 '칠천량 해전' 이후 '명량해전'에 출정할 수 있었던 이유 '명량해전'은 세계 해전사에서 유례가 없는 전설적인 승전을 조선측에 안겨주었습니다. 또한 '명량해전' 당시 조선 수군은 사실 상 전투기능을 상실한 함대였는데요. 이순신 장군이 '칠천량 해전' 이후 '명량해전'에 출정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시다시피 조선수군은 '칠천량 해전'으로 인해 전멸당했고 이순신 장군과 생사고락을 지휘관, 병사들은 대부분 전사하거나 도망갔다고 합니다. '칠천량 해전' 이후 조선 수군이 전멸을 당하자 당시 조선의 국왕이었던 선조는 이순신을 재등용하여 삼도수군통제사(수군 총사령관)에 임명하게 되는데요. 그나마 다행히도 이순신 장군은 12척의 판옥선이 건재하다는 소식을 듣고 판옥선을 인수하러 갔습니다. '칠천량 해전' 당시 배설이 원균이 사실 상 지휘관의 능력을 상실했.. 밀리터리 2018. 2. 17.
반응형